2013년 7월 19일 금요일

Unity3d MonoDevelop 에서 C# Defalt Parameters 에 대해

unity3d 에서 c# 스크립트 작업을 할 때, 기본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Visual Studio 에서는 상관없으나, MonoDevelop에서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물론 unity3d 동작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 에러가 다른 에러들과 겹쳐 여간 신경쓰이는 것이 아니죠.

저 에러를 없애봅시다.

먼저, MonoDevelop 상단바의  Tools -> Options 를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은 Options 창이 나타납니다.

오른쪽 메뉴창 제일 아래에 있는 Unity의 Debugger를 선택 후,

Build prooject in MonoDevelop 체크해제합니다.



그리면.... 짜잔~~!


기본 매개 변수에 대한 에러가 사라졌습니다.

C# 자동으로 using 추가하기

Unity3d 작업시 Script Editor로 Visual Studi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 작업시 자동으로 using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1. Shift + Alt + F10

또는

2. Ctrl + .(마침표)

를 빨간줄에 커서를 대고 눌러봅시다.


사용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네임스페이스가 나타나는군요.

선택하면 자동으로 using문이 추가됩니다.

2013년 5월 2일 목요일

Unity3d 작업시 Visual Assist 사용하기

Unity3d 작업시 Script Editor를 Visual Studi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 Visual Assist를 사용할 수 있는 꼼수를 소개해 드립니다.

Unity3d 와 Visual Studio 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단의 Assets -> Sync MonoDevelop Project 클릭

단점은..

유니티 실행시마다 해주셔야 된다는 점 > _<

unity3d 작업시와 플레이시 색으로 구분하기

유니티 작업을 하다보면 플레이버튼을 누른 상태인것을 잊어버리고

작업을 하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플레이시 작업 했던 사항은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이제 작업시와 플레이시를 색으로 구분해봅시다!

Unity -> Preperences를 선택 ( Mac 일 경우 )



Colors 선택 후 맨 위의 Playmode tint 를 입맛에 맞도록 색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이러하던 화면이


플레이시 이렇게!!

유니티 작업시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